2025년 8월 1일 금요일 오후 9시 55분 EBS'명의'에서는 경동맥이 위험하다를 방송했습니다. 신경과 전문의 방오영 명의와 함께 경동맥과 뇌졸중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아래에서 경동맥 명의 방오영 교수의 진료 예약도 해 보세요.
뇌와 심장의 통로,
경동맥이 위험하다
신경과 방오영 교수 - 경동맥이 위험하다
- ‘뇌졸중’의 15%, 목 속에 숨어 있는 이 혈관 때문이다!
- 증상 없다고 안심하지 마라, 조용히 다가오는 ‘침묵의 살인자’
- 약으로 막을까, 스텐트로 뚫을까... 선택의 기준은?
갑작스럽게 말이 어눌해지고, 손에 들고 있던 컵을 떨어뜨리거나 한쪽 시야가 흐려진 경험이 있다면 단순한 피로나 일시적인 현상으로 넘기진 않았는가?
경동맥 명의 방오영 교수 진료 예약하기->
삼성서울병원
함께하는 진료 함께하는 행복, SMC 삼성서울병원입니다.
www.samsunghospital.com
하지만 이처럼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들은 사실, 뇌가 보내는 ‘긴급 경고’일 수 있다.
몸의 한쪽이 저리거나 힘이 빠지는 느낌, 잠깐 말을 더듬거나 시야가 흐려졌던 경험은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막히며 생기는 증상,
즉 ‘일과성 허혈 발작’의 가능성이 높다.
이 경고를 놓치면, 다음엔 되돌릴 수 없는 뇌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 원인은 의외로 ‘머리’가 아닌 ‘목’에 있다.
바로 경동맥.
심장에서 뇌로 산소와 영양을 실어 나르는 가장 큰 혈관이다.
이 경동맥이 콜레스테롤이나 염증 등으로 서서히 막혀가는 현상을 우리는 ‘경동맥 협착’이라 부른다.
문제는 이 병이 대부분 아무 증상도 없다는 것.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쓰러진다.
뇌경색이 찾아오는 것이다.
지금도 당신의 경동맥은 조용히 막혀가고 있는 건 아닐까?
EBS 명의 <뇌와 심장의 통로, 경동맥이 위험하다> 편에서는 신경과 명의 방오영 교수와 함께 경동맥에 대해 상세히 알아본다.
*방송일시 : 2025년 8월 1일 (금) 밤 9시 55분, EBS 1
‘목 속 혈관’이 뇌를 위협한다
뇌졸중은 어느 날 갑자기 찾아와 생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질환이다.
그런데 그 출발점이 ‘머리’가 아닌 ‘목’일 수 있다.
심장에서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은 뇌 건강을 유지하는 핵심 혈관이다.
하지만 여기에 콜레스테롤과 염증이 쌓이면, 혈관이 점점 좁아지는 ‘경동맥 협착’이 발생한다.
문제는 이렇게 좁아진 혈관이 뇌로 가는 혈류를 제한하면서, 결국 뇌경색이나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체 뇌졸중의 약 15~20%가 경동맥 협착과 관련된 만큼, ‘목 속 혈관’ 관리가 곧 뇌 건강 관리임을 기억해야 한다.
증상 없다고 안심하지 마라
경동맥 협착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다.
혈관이 절반 이상 좁아져도 여전히 일상생활을 이어가곤 한다.
하지만 문제는 갑작스럽게 찾아온다.
혈관이 일정 이상 좁아져 혈류가 차단되면, 말이 어눌해지고 팔다리에 힘이 빠지며, 심할 경우 의식을 잃는 뇌졸중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미 ‘경고 신호’가 나타났을 때는 뇌가 손상된 후인 경우도 적지 않다.
이처럼 겉으로는 조용하지만 속으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경동맥 협착은 ‘침묵의 살인자’라 불린다.
정기 건강검진이나 우연한 경동맥 초음파 검사에서 뒤늦게 발견되는 사례도 많다.
중요한 것은, 증상이 없다고 해서 안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나이가 들고,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 등 위험 요인이 있다면 반드시 경동맥 상태를 확인해봐야 한다.
경동맥은 지금 어떤 선택이 필요할까
경동맥 협착이 있다고 해서 모두 수술을 받는 것은 아니다.
치료는 협착의 정도와 증상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혈관이 50~60% 정도 좁아지고 뇌경색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약물치료와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우선 적용된다.
고지혈증약과 항혈소판제를 통해 혈관 상태의 악화를 늦춘다.
반면, 협착이 70% 이상이거나 언어장애, 마비 등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이나 내막절제술 등 시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치료 선택의 핵심은 협착의 정도뿐만 아니라 증상의 유무, 발견 시점에 있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 진단이 이루어진다면, 약물치료만으로도 뇌졸중 위험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
EBS 명의 <뇌와 심장의 통로, 경동맥이 위험하다> 편에서는 신경과 명의 방오영 교수와 함께 경동맥에 대해 알아본다.
EBS 명의 뇌졸중 명의 백남종 교수 진료 예약->
EBS 명의 뇌졸중 백남종 교수
2025년 5월 23일 금요일 오후 9시 55분 EBS '명의'에서는 뇌졸중에 대해서 방송했습니다. 뇌졸중 명의 백남종 교수와 뇌졸중 후유증을 극복하는 최신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아래에서 백남종
2.violet097.com
EBS 명의 수술 없이 뇌혈관 살리는 방법 김동준 교수 진료예약->
EBS 명의 뉴로인터벤션 명의 김동준 교수 진료 예약 수술 없는 뇌혈관 질환
2024년 7월 5일 금요일 오후 9시 55분 EBS '명의'에서는 수술 없이 뇌혈관을 살리는 뉴로인터벤션, '뇌졸중'에 대해서 방송했다. 뇌졸중 명의 영상의학과 김동준 교수의 진료 예약도 아래에서 할 수
2.violet097.com